About IRL‎ > ‎

Entrance

How to apply

If you are interested in studying at IRL (Intelligent Robotics Lab), you may apply for admission. Students are recruited twice in spring and fall semesters. You can apply for the graduate school of mechanical engineering or mechatronics. For more information about the mechatronics program, please refer to the mechatronics section below. The two programs are essentially the same. However, if your major is not mechanical engineering, it is recommended to apply to the mechatronics program. Also, if you are pursuing a Ph.D. degree, you may apply for the integrated Master’s & Doctoral program. This course provides a number of benefits, and you can receive your degree in a shorter period of time. 

For more information about the admission, please visit: http://graduate2.korea.ac.kr

We are open!

Interested in IRL? Thinking about entering the graduate school? You are more than welcome to email or visit us at any time. We will give you counseling along with a brief tour of the lab.


Scholarship

  All members receive funding provided by the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 Master students can work as a TA (Teaching Assistant) for two semesters and receive a TA scholarship which covers about 50 % of the tuition.
  • Doctoral students can work as a TA for four semesters and receive a TA scholarship which covers about 50% of the tuition.
  • Those enrolled in the Integrated Master’s & Doctoral program receive a TA scholarship up to seven semesters. 

  Regardless of TA scholarships, graduate students at IRL can receive a highest monthly stipend that they are allowed to get. 


Mechatronics

As can be seen from its name, mechatronics is the combination of mechanical and electrical engineering. It aims to develop more intelligent and advanced systems. Korea University’s Mechatronics program was founded in 1995, and is run by 5 professors. Mechatronics does not have its own departments or office. The students enrolled in the Mechatronics program will be assigned to the lab directed by their advisor to conduct research and take courses.

 

Notes on Mechatronics Program

   Following are few things to note for those of who want to enter IRL majoring in mechatronics:  

  • Beware that your graduate certificate will indicate that you’ve graduated from the department of mechatronics, not from mechanical engineering. This may affect your future career choice, and it is recommended to think it over before you apply.
  • If you choose to enter the graduate school of mechanical engineering, and you majored in a program other than mechanical engineering, you may have to take additional courses. This may even delay your graduation. However, the mechatronics program does not require you to take any additional courses, which can be beneficial.
  • Although students in the mechatronics program work as TAs, their workload is light, and their funding is half of what the students in mechanical engineering receive. Other than this, the funding is the same for students in mechanical engineering and mechatronics.

지능로봇 연구실 진학방법

지능로봇연구실의 석박사 과정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은 기계공학과의 일반대학원이나 메카트로닉스 협동과정 (협동과정에 대해서는 아래의 설명 참조)의 전후기 모집을 통해서 진학할 수 있다. 두 과정은 실질적으로는 큰 차이는 없지만, 학부 전공이 기계공학이 아닌 학생의 경우 메카트로닉스 협동과정으로 진학하는 것이 여러 면에서 유리하다. 이 외에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및 생산기술연구원(KITECH) 학연과정을 통해서도 석박사과정에 진학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연구는 주로 KIST나 KITECH에서 수행하지만, 과목은 고려대학교에서 수강하며, 취득 학위도 고려대학교에서 수여된다. 또한, 박사과정까지 이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석박사통합과정으로 지원하여도 된다. 이 경우 석사 1학기부터 박사과정으로 취급되어 각종 혜택을 받게 되며, 석사학위 논문을 작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박사학위 취득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항상 열려 있는 연구실

 지능로봇연구실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은 대학원 입시시기와 상관 없이 언제라도 이메일 또는 직접 방문을 통하여 교수(jbsong@korea.ac.kr)  및 연구실 소속 대학원생과 면담을 갖고, 연구실에서 진행되는 다양한 연구 및 성과물을 접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장학 관련

학과 차원에서 지급되는 장학금은 다음과 같다. 
  • 석사과정: 2, 3학기 두 학기 동안 과목조교로 근무하며, 대략 등록금의 50% 정도에 해당하는 조교장학금이 두 학기 동안 지급된다. 
  • 박사과정: 과목을 수강하는(즉, 등록금을 내야 하는) 4학기 동안 과목조교로 근무하며, 대략 등록금의 50% 정도에 해당하는 조교장학금이 지급된다. 
  • 석박사통합과정: 통합과정의 석사과정 2, 3, 4학기에는 상기 석사과정과 동일한 조교장학금이, 통합과정의 박사과정에서는 상기 박사과정과 동일한 조교장학금이 지급된다. 
조교 여부와 상관 없이 연구실의 대학원생들은 프로젝트 및 BK장학금 등을 통하여 정부에서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국내 최고의 인건비를 받고 있다. 이 외에도 프로젝트에서 인센티브가 별도록 지급된다.  

메카트로닉스 협동과정 소개

메카트로닉스(Mechatronics)는 기계공학을 의미하는 Mechanical과 전자공학을 의미하는 Electronics가 합성된 단어이다. 어원에서도 알 수 있듯이, 메카트로닉스는 기계공학, 전자공학, 컴퓨터공학 및 제어공학이 접목되어 보다 지능적이며, 보다 정밀한 기계시스템을 창출해 내는 기술이다. 이러한 메카트로닉스 기술은 로봇, 자동차, 자동화 시스템 등 첨단 분야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메카트로닉스 협동과정은 기계공학과, 전기공학과, 전자공학과 교수 5분이 참여하여 구성한 대학원 과정이다. 이 과정은 1995년경에 여러 학과의 협동연구가 필요한 몇 개 분야를 대상으로, 교육부의 승인 하에 개설된 과정이지만 야간에 직장인을 대상으로 하는 특수대학원과는 성격이 전혀 다르며, 일반대학원과 동일한 과정이다. 이 과정에 소속된 교수들은 각자 자신의 학과에 소속되어 있으면서, 동시에 이 협동과정에도 참여하고 있다. 이 과정은 별도의 학과사무실이나 직원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센터의 개념으로 운영되므로, 이 과정에 진학하는 학생은 각 지도교수의 연구실에 배정되어 일반대학원생과 동일하게 강의를 듣고, 연구를 수행하게 된다. 

메카트로닉스 협동과정 진학시 숙지사항

  메카트로닉스 협동과정으로 본 연구실을 선택하고자 하는 학생들은 다음과 같은 장단점을 잘 숙고한 다음에 일반대학원 진학과 비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졸업장에는 기계공학과가 아닌 메카트로닉스 학과를 졸업한 것으로 기록된다. 기계공학 전공보다는 메카트로닉스 전공이 취업이나 장래에 더 유리하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협동과정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학부나 석사과정에서 기계공학을 전공하지 않은 타전공 학생이 메카트로닉스를 전공하기 위하여 본 연구실에 일반대학원으로 진학하는 경우에는, 기계공학과의 기본과목들을 선수과목으로 수강하여야 하며, 이 경우에는 졸업에 한 학기 정도 더 소요될 수 있다. 그러나 메카트로닉스 협동과정은 이러한 선수과목을 요구하지 않으므로 메카트로닉스와 관련된 과목만을 수강하고 추가 과목을 수강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선수과목 수강으로 인한 졸업 지연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 메카트로닉스 과정의 경우 2, 3학기에 과목조교로 배정되지만, 특별한 조교 업무는 없으며, 받는 조교장학금의 액수는 일반대학원의 절반 정도에 해당한다. 조교장학금 액수가 작은 점을 제외하고는 연구실에서 지급되는 장학금 및 인건비 등은 일반대학원 석사와 동일하다.